-
샴의 법칙(Sahm rule)경제 2024. 12. 9. 23:52
샴의 법칙이란?
미국 실업률의 3개월 이동평균이 최근 12개월 실업률 최저점보다 0.5%p이상 높으면 미국 경제침체가 매우 임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업률이 최저 수준에서 일정 수준 상승했을 때 경제침체 진입 신호이다.
실업률이 상승하면 부정적인 피드백 루프가 자기강화한다.
//부정적인 피드백 루프 실업률 상승 시작 -> 가계 소득 및 소비 감소 -> 기업이익 둔화 -> 실업률 상승 -> 소득 및 소비 감소 -> .... 경기 침체 발생
실업률 상승은 경기둔화의 후행 지표다. 기업은 경가둔화 진입 국면에서 노동저장을 하기 때문이다. 재고용으로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해고하지 않고 고용을 유지하는 것을 노동저장이라고 한다. 기업이 미래 경제를 부정적으로 보면 노동저장을 그만두고 해고를 하기 시작하는데 이 시점은 다른 경제 분야가 충분히 악화되고 난 이후이다.
이러한 노동시장의 특징을 알지 못한 연준은 견고한 노동시장을 보고 긴축정책을 강화하거나 유지하곤 했다. 예를 들어 실업률이 상승하기 시작했을 때,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한 것이다.
샴의 법칙이 틀릴 수 있다.
샴의 법칙이 충족되어도 경기침체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노동공급의 증가로 실업률이 증가했을 경우이다.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을 의미한다.) 미국 소비가 지속해서 견조한 모습을 보인다면 기업들은 해고를 늘릴 필요가 없고, 일자리가 지속해서 창출될 것이다. 증가한 노동공급은 결국 일자리를 얻고 실업률은 하락할 것이다.
경제활동참가율은 경기순환 요인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상승할 수 있지만, 인구통계학적 변화를 고려했을 때 중장기적으로 지속해서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조사필요)
ref
- 원스 글로벌경제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0) 2024.12.30 12월 FOMC 정리 (0) 2024.12.25 헤드라인 PCE 물가지수와 근원 PCE 물가지수 (0) 2024.12.23 트럼프의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 (0) 2024.12.12 경제 사이클 구분 방법 (0) 2024.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