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차(tea)의 시음과 비교잡기록 2025. 1. 29. 03:32
*Updating 차에 대한 평가를 기록하고자 글을 쓰다가 왜 차를 시작하게 되었는지도 쓰고 싶어졌다.글의 분리는 나중에 그 필요성이 명확해지면 해야겠다.왜 차를 시작하게 되었나?24년 말상하이 capella 호텔에 방문했다. 체크인을 기다릴 때 차를 내주었고, 객실 내부에도 여러 종류의 차를 구비해놓았다. 당시 차의 종류는 하나도 몰랐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허브티, 그린티를 마셨던 것 같다. 내가 전에 먹었던 차와는 향과 맛의 깊이가 달랐다. 그린티는 마시자마자 탄성을 뱉었던 것으로 기억한다.이런 멋있는 차를 음미하며 그럴듯한 상념에 빠져있는 내 모습이 번뜩 스쳐지나갔다.꽤나 마음에 들었다. 25/01/28 8AM당시 친구집의 거실에는 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큰 소파가 하나 있고, 작은 탁자가 있었다..
-
차나무의 주요 품종잡기록 2025. 1. 29. 02:37
차나무는 크게 시넨시스(sinensis) 품종과 아사미카(assamica) 품종으로 나뉜다. 차나무가 자생하는 지역은?차나무는 일반적으로 북위 42도, 남위 27사이의 지역에서 재배된다.평균 13도이며 습하고 (연강수량 1500mm), 약산성의 토양에서 잘 자란다. 시넨시스 vs 아사미카 시넨시스 (Camellia sinensis var. sinensis)아사미카 (Camellia sinensis var. assamica)재배 지역주로 중국,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인도 아삼 지역, 스리랑카, 아프리카 등 열대 지역잎 크기작고 얇으며 길쭉한 형태 (3~5cm)크고 두꺼우며 넓은 형태 (10~18cm)수목 크기상대적으로 작고 관목 형태로 자람상대적으로 크고 나무 형태로 자람기후 적응성서늘한 기후에..
-
비잔티움 장군 문제 - 비트코인은 비잔티움 장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가카테고리 없음 2025. 1. 26. 17:01
비잔티움 장군 문제를 알아보고 비트코인은(사토시 나카모토)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 알아보자. 비잔티움 장군 문제란분산된 시스템에서 신뢰성을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문제분산 시스템에서의 합의 문제를 설명하는데 협의(consensus)문제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금 더 이해가 쉬운 설명이 있어 덧붙인다.비잔티움 장군 문제는 서로 신뢰하지 않고 심지어 적대적일 수도 있는 독립된 주체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 신뢰하는 중개자에 의존하지 않고 어떻게 협력할 수 있냐는 문제이다.문제의 배경비잔티움 제국의 여러 장군들이 특정 성을 공격하거나 철수할지 협의한다고 가정한다. 장군들 사이에 협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조건이 있다.장군들 간에 통신은 메시지를 통해 이..
-
-
포스트 1945체제경제 2025. 1. 1. 10:13
포스트 1945 체제(Post-1945 System)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정치, 경제, 사회, 국제 질서 등이 새롭게 재편된 시기를 의미한다. 이 체제는 1945년 종전 이후부터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1. 역사적 배경제2차 세계대전의 종결 (1945년): 전쟁으로 인한 파괴를 복구하고 국제 평화를 유지하기 위한 새로운 질서가 필요했다.냉전의 시작 (1947년경~1991년):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 간의 이념적 대립이 세계 질서를 지배했다.유엔 설립 (1945년): 국제 평화를 유지하고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유엔(UN)이 창설되었다.탈식민지화: 전쟁 이후 많은 식민지 국가들이 독립을 달성하며 국제 질서에 새롭게 참여하기 시작했다. ..
-
소버린 리스크경제 2025. 1. 1. 09:50
소버린 리스크(Sovereign Risk)란?소버린 리스크는 정부나 국가가 채무를 상환하지 못하거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 국가의 경제 상황, 정치적 불안, 법적 환경, 외환 보유 상황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주로 국가가 발행한 채권에 투자한 채권자나 해외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들이 직면할 수 있는 위험이다.주요 요인경제적 요인국가의 경제 성장률 감소재정 적자 확대높은 부채 수준외환 부족 및 통화 가치 하락정치적 요인정부의 불안정성(정권 교체, 쿠데타 등)정책 변화(급격한 세금 인상, 외환 통제)국제 제재 및 외교적 갈등법적 환경외국인 투자자의 자산 몰수법적 분쟁에서의 불공정한 대우계약의 강제적인 변경 또는 무효화외환 리스크외화 부족으로 인한 디폴트 가능성외환 ..
-
소련의 약화와 독일의 통일경제 2024. 12. 30. 22:56
1. 소련의 약화와 내부 요인경제적 어려움: 1980년대 소련은 군비 경쟁(특히 SDI, 이른바 스타워즈 계획)과 경제 침체로 인해 체제 유지가 어려워졌다. 소련 경제는 국영 중심 구조와 비효율적인 생산 방식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었다.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고르바초프는 체제 개혁을 위해 개방(글라스노스트)과 개혁(페레스트로이카) 정책을 추진했으나, 이는 오히려 공산주의 체제의 정당성을 약화시키고 위성국들의 독립 요구를 촉진했다.2. 동유럽 위성국의 변화와 베를린 장벽 붕괴폴란드와 헝가리의 민주화: 1989년, 동유럽의 공산 정권이 잇달아 무너졌다. 특히 폴란드의 자유노조 운동(솔리다리티)과 헝가리의 개혁은 동독 주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동독의 이탈: 소련은 동독에서 발생한 항의 시위와 탈..
-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경제 2024. 12. 30. 22:54
글라스노스트(Glasnost)와 페레스트로이카(Perestroika)는 1980년대 후반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가 추진한 개혁 정책들로, 소련 체제를 개혁하고 경제적,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였다.1. 글라스노스트 (Glasnost)개념뜻: 러시아어로 "개방" 또는 "투명성"을 의미한다.목표: 소련 사회의 투명성을 높이고, 표현의 자유를 확대하며, 정부와 공산당의 부패와 비효율성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도록 장려했다.주요 내용언론 자유 확대:이전에는 검열되던 문제(스탈린의 대숙청, 체르노빌 사고 등)가 공개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언론은 정부 정책과 공산당의 잘못을 비판할 수 있었고, 과거 역사적 사건들도 재조명되었다.사회적 개방:국민들이 더 많은 정치적 정보에 접근할..